毛遂自薦(모수자천)
유래
전국시대(戰國時代) 말엽, 진나라(秦--)의 공격(功擊)을 받은 조나라(趙--) 혜문왕(惠文王)은 동생이자 재상(宰相)인 평원군(平原君)을 초나라(楚--)에 보내어 구원군(救援軍)을 청하기로 했다. 20명의 수행원(遂行員)이 필요(必要)한 평원군(平原君)은 그의 3000여 식객(食客)중에서 19명은 쉽게 뽑았으나, 나머지 한 명을 뽑지못한 채 고심(苦心)했다. 이 때에 모수(毛遂)라는 식객(食客)이 「나리, 저를 데려가 주십시오.」 하고 나섰다. 평원군(平原君)은 어이없어 하며 「그대는 내집에 온 지 얼마나 되었소?」 하고 물었다. 그가 「이제 3년이 됩니다.」 하고 대답(對答)하자 「재능(才能)이 뛰어난 사람은 마치 주머니 속의 송곳 끝이 밖으로 나오듯이 남의 눈에 드러나는 법이오. 그런데 내 집에 온 지 3년이나 되었다는 그대는 단 한 번도 이름이 드러난 일이 없지 않소?」 하고 반문(反問)했다. 모수(毛遂)는 「나리께서 이제까지 저를 단 한번도 주머니 속에 넣어 주시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번에 주머니 속에 넣어 주신다면 끝뿐이 아니라 자루(=炳)까지 드러내 보이겠습니다.」 하고 재치(才致)있는 답변(答辯)을 했다. 만족(滿足)한 평원군(平原君)은 모수(毛遂)를 수행원(遂行員)으로 뽑았고, 초나라(楚--)에 도착한 평원군(平原君)은 모수(毛遂)가 활약(活躍)한 덕분에 국빈(國賓)으로 환대받고, 구원군(救援軍)도 얻을수 있었다고 함.
출처 :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관련한자
터럭 모
1. 터럭(몸에 난 길고 굵은 털), 털 2. 모피(毛皮) 3. 희생(犧牲)
부수 毛 (터럭모, 4획)
총획 4획
드디어 수/따를 수
1. 드디어, 마침내 2. 두루, 널리 3. 도랑(매우 좁고 작은 개울), 수로(水路)
부수 辶 (책받침, 3획)
총획 12획
스스로 자
1. 스스로, 몸소, 자기(自己) 2. 저절로, 자연히(自然-) 3. ~서부터
부수 自 (스스로자, 6획)
총획 6획
천거할 천, 꽂을 진
1. (천거할 천) 2. 천거하다(薦擧--) 3. 드리다, 올리다
부수 艹 (초두머리, 3획)
총획 16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