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선교장의 역사
효령대군(세종대왕의 형)의 11대손인 가선대부(嘉善大夫) 무경(茂卿) 이내번(李乃蕃)에 의해 처음 지어져 무려 10대에 이르도록 나날이 발전되어 증축 되면서 오늘날에 이르렀다.
99칸의 전형적인 사대부가의 상류주택으로서 1965년 국가지정 중요 민속자료 제 5호로 지정되어 개인소유의 국가 문화재로서 그 명성을 이어오고 있다. 300여년동안 그 원형이 잘 보존된 아름다운 전통가옥으로 주변의 아름다운 자연미를 활달하게 포용하여 조화를 이루고 돈후한 인정미를 지닌 후손들이 지금가지 거주하는 살아숨쉬는 공간이다.
하늘이 족제비 무리를 통해 점지 했다는 명당터인 선교장은 300여년전 안채 주옥을 시작으로 동별당, 서별당, 연지당, 외별당, 사랑채, 중사랑, 행랑채, 사당들이 지어졌고 큰대문을 비롯한 12대문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서 대장원을 연상케 한다. 입구에는 인공 연못을 파고 정자를 지어 활래정(活來亭)이라 이름을 짓고 연못과 함께 경포호수의 경관을 바라보며 관동팔경 유람하는 조선의 선비와 풍류들의 안식처가 되었다.만석꾼 곳간채에는 항상 곡식이 가득하여 흉년에는 창고를 열어 이웃에게 나누어주며 베푸는 집안의 표상이 되기도 하였다. 2000년을 기해 한국 방송공사에서 20세기 한국 TOP 10을 선정할 때 한국 전통가옥 분야에서 한국최고의 전통가옥으로 선정되었다. 선교장 해설위원 이몽 茶菓店 窓에서 잠은 活來亭 모습. 절의와 광기의 지식인 김시습금오신화 『금오신화』에는 무엇보다 작가 김시습의 파란만장한 인생 역정이 반영되어 있다. 김시습의 자는 열경(悅卿), 승명은 설잠(雪岑)이다. 호는 잘 알려진 매월당(梅月堂) 이외에 청한자·동봉산인·벽산청은·취세옹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은둔자의 풍취가 물씬 배어 있는 이름들이다. 본관은 강릉이다. 한양에서 태어난 그는 어린 시절 신동으로 이름이 나 세종에게 칭찬을 받고 비단 50필을 하사받을 만큼 뛰어난 인재였다. 세종은 '시습이 장성하고 학업이 성취함을 기다려 장차 크게 쓰겠다'고 공언했으나 그 약속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 절의와 광기의 지식인 김시습 - 금오신화 (고전소설 속 역사여행, 개정증보판 2005., 2쇄 2013., 돌베개)] [배경음악:59] |
'함께 추억 만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6人會 JH.Kim 主管 "낙지섬" (2018-05-26) (0) | 2018.01.05 |
---|---|
네잎 크로바 (2018-04-24) (0) | 2018.01.05 |
江陵 - 烏竹軒 (2 ) (2018-04-11) (0) | 2018.01.05 |
江陵. 束草의 飮食名家 探訪記 ( 3 부 ) (2018-04-11) (0) | 2018.01.05 |
모시고저 합니다.; (2017-10-10) (0) | 2018.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