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苛): 가혹할 가
렴(斂): 거둘 렴(염)
주(誅): 책망할 주
구(求): 구할 구
이 가렴주구는 구당서(舊唐書)에 나오는 말로 구당서(舊唐書)는 당나라(唐)의 정사(正史)로 이십사사(二十四史) 가운데 하나이지요. 춘추시대 때 공자의 모국인 노나라는 조정의 실세인 걔 손자(季孫子)가 세금 등을 가혹하게 징수함(苛斂誅求)으로써 백성들이 시달림을 당하고 있는정치적 상황을 나타내는 말이라고 합니다.
[출전]
[유래]
어느 날 공자(孔子)가 제자들을 데리고 태산(泰山) 기슭을 지나가고 있을 때였다.
한 여인(女人)이 세 개의 무덤 앞에서 목 놓아 울고 있었는데, 이 여인(女人)의 울음소리에는 각별한 슬픔이 담겨 있었다. 수레 위에서 머리를 숙이고 가만히 이 소리를 듣고 있던 공자(孔子)는
자로(子路)는 여인(女人)에게 다가가서 정중히 입을 열었다.
「당신의 울음소리를 들으니 굉장히 슬픈 일을 당하신 것 같은데 무슨 일이신지요?」
「그러합니다. 옛적에 시아버지가 호랑이한테 잡아먹혔고 나의 남편도 또 호랑이에게 당했는데, 이제 나의 아들이 또 그것에게 죽었습니다.」
「그런데 어찌하여 이곳을 떠나지 않았습니까?」 하니
「이곳은 세금(稅金)을 혹독하게 징수하거나 부역을 강요하는 일이 없습니다.」
제자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제자들아 이를 들어라. 가혹(苛酷) 한 정치(政治)는 호랑이보다 더 무서운 것이니라.」
(苛政猛於虎:가정맹어호)
[출처] 가렴주구 (苛斂誅求) 라는 고사 성어, 사자성어|작성자 유시시맘
'보석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毛遂自薦(모수자천) (0) | 2021.07.23 |
---|---|
結草報恩(결초보은) (0) | 2021.07.20 |
匹夫之勇(필부지용) (0) | 2021.07.19 |
多多益善(다다익선) (0) | 2021.07.19 |
管鮑之交(관포지교) (0) | 2021.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