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추억 만들기

중국의명주??(名酒)??우량예주(五粮液?) [ 2011-08-18 ]

고향 길 2018. 1. 4. 13:03

중국의명주(名酒)??우량예주(五粮液)

 [ 五=다섯오, 粮=양식량, 液=진액 ]

 

  

우량예주(五粮液)의 역사

오량액의 역사는 당대부터 시작되었으나 그 당시에는 오량액주라고 부르지 않았으며 그 당시에 술 성분과 품질도 지금의 오량액주와는 다르다.약150년전 의빈에서는 5종류의곡식(고량,쌀,옥수수,찹쌀,소맥)을 원료로하여 술을 빚었는데 당시는 잡량주라고 하였으며 금세기 20년대에 와서야 오량액주라고 하였다. 오량액주는 중국 사천성 의빈에서 생산되는 중국 명주로 1600여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당나라 시대에 처음 양조 되었다고 전해지며 1929년에 이름이 오량액으로 명명되었으며 오량액이란 의미는 고량,쌀,옥수수,찹싸르소맥의 5종의 양식으로 제조되어 향기가 은은하고 그윽하며 술맛은 순순한 중국 구연의 전용술로 널리 알려져있다. 오량액은 엄격한 제조과정을 통해 밀봉발효로 빚어진 유구한 향기와 중후한 맛과 감미가 있어 상쾌한 맛이 나는 독특한 품격을 지닌 출중한 세계 최고 명주로 미국의 카터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했을때 등소평이 중국최고 명주의 하나로 만찬석상에 소개되어 호평을 받아 세계명주로서 인정받은 술로 유명하다.

 

中國三大名酒

 

1.정품 마오타이주 (53도) 가격=\210,000  500ml 

2. 정품 오량액(52도)       가격=\210,000  500ml   

3. 수정방[水井坊]          가격=\190,000  500ml 

 

중국 배갈 시장의 최강자 우량예

재작년쯤부터던가. 마침내 서울 한복판에도 중국 배갈의 광고판이 나붙었다. 명동 거리에서도 쉽게 눈에 들어오는 ‘우량예(五粮液)’ 광고가 그것이다. 일찍이 우리한테 소문난 배갈은 ‘마오타이주(茅台酒)’였지만 마오타이는 그 독특한 향 탓에 우리네 입맛을 제대로 끌지 못했다. 때문에 90년대 중반부터 우리네 애주가들이 우량예를 만난 것은 중국 배갈의 새 지평을 보는 것과 다를 바 없었다. 강렬하면서도 부드럽고 진하면서도 은은한 농향형(濃香型) 배갈의 진면목을 우량예를 통해 대면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오늘날 중국 배갈 시장의 대세 또한 농향형이다. 우량예를 필두로 한 농향형 배갈들이 시장의 70% 이상을 장악했기 때문이다. 손쉽게 마오타이의 매출액을 꺾어버린 우량예는 중국 배갈의 새 전설이며 그 기세는 여전히 위력적이다.

우량예 제조공장 정문.

우량예 술 회사는 장강의 최상류, 즉 금사강(金沙江)과 민강(岷江)이 만나는 쓰촨성 이빈시(宜賓市)에 있다. 지도상의 ‘장강’이라는 표기도 이곳 이빈에서 시작한다. 의빈(이빈) 지역의 양조 역사는 선진시대(先秦時代)까지 올라가지만 순수하게 곡식으로 술을 빚기 시작한 것은 당대(唐代)부터다. 서기 765년 봄, 쪽배를 타고 고향으로 가던 두보는 당시 융주자사(戎州刺史) 양모(楊某)의 초대를 받고 이곳에 들렀다. 연회에서 젊은 술꾼들과 기생들이 어울려 노는 양을 보곤 즉흥으로 ‘(기생들이 일어나 주인에게) 짙푸른 중벽 춘주를 올리고 가는 손으로 분홍빛 여지 열매를 까는구나(重碧拈春酒 輕紅擘枝)’라는 시구를 남겼다. 이때부터 이곳 술은 ‘중벽주(重碧酒)’로 불렸다.

우량예 양조기술의 발전 과정 중 가장 중요한 사건은 ‘요자설곡(姚子雪曲)’이라는 술의 등장이다. 이는 송대(宋代)의 의빈 양반 요씨(姚氏) 집안에서 만든 술이었는데 옥수수, 쌀, 수수, 찹쌀, 메밀 다섯 가지 곡식을 원료로 하였다. 명대(明代)에 의빈 사람 진씨(陳氏)가 요씨의 주업을 계승하였지만 당시의 교양인들은 이 술을 여전히 요자설곡이라고 했다. 그러나 서민들은 이를 ‘잡양주(雜粮酒)’라고 불렀다. 1909년 선비 양혜천(楊惠泉)이 이 술을 마셔보곤 말하길 “이처럼 좋은 술을 잡양주라고 하는 것은 너무 속되다. 비록 요자설곡이 점잖기는 하지만 술의 본체를 드러내기에는 부족하다. 이 술은 다섯 곡식의 정화(精華)로 빚어진 것이니 오량액(五粮液)이라고 해야 마땅할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우량예란 이름은 여기서 시작되었다.
우량예를 빚는 데 쓰는 물은 민강의 깊은 데서 길러지는데 이를 ‘민강강심수(岷江江心水)’라고 한다. 수수, 쌀, 찹쌀, 밀, 옥수수 등 다섯 가지 원료는 현지 특산의 정선된 것이며 누룩은 밀로 만든 대곡(大曲)을 쓴다. 누룩 균을 배양하는 시간도 40일 정도로 평균 30일 정도인 다른 술보다 길다. 구덩이 속 발효기간은 70~90일에 이른다.

 

673